원소의 개수 (Cardinality)는 |A|로
유한집합의 경우 원소의 개수를 세면 되어서 쉽다.
하지만 무한집합의 경우는 ,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없기 떄문에
무한집합
A,B에서 |A|=|B||A|=|B|가 성립하려면 A,B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존재해야 한다.
위와 같이 정의한다.
- |N| = |Z| (N : 자연수, Z: 정수)
- -3 -2 -1 0 1 2 3 4
- 7 5 3 1 2 4 6 8
- 과 같이 일대일 대응이 있으니까 개수가 같다고 판단
- |N| = |Q| (Q: 유리수)
- 1 2 3 4 5 6 7 8 9
- 1/1 1/2 2/1 1/3 3/1 1/4 2/3 3/2 4/1 1/5 (합이 2, 합이 3, 합이 4)
- |N| = |R| (N: 자연수, R: 실수) => 자연수와 실수의 cardinality는 다름
- 이를 Diagonalization (대각화)로 증명할 수 있음.
- R1 = {x | 0<x<1}
- 일대일 대응이 있다고 하자.
- 1 ↔ 0. d(11) d(12) d(13) d(14) ….
- 2 ↔ 0.d(21) d(22) d(23) d(24) …..
- 3 ↔ 0. d(31) d(32) d(33) d(34) …..
- X = 0.D1 D2 D3 D4 …. (이때, Di=(dii+1)mod10 (mod는 나머지연산) 라 하자)
- d(ii) 가 4면 Di 는 5
- d(ii) 가 5면 Di 는 4
- 그러면, X는 지금까지 자연수와 매칭안된 새로운 실수가 된다.
- 실수집합은 자연수집합보다 크기가 크다
집합의 종류
- 공집합
- 유한 집합
- 무한하지만 셀 수 있는 (자연수 집합)
- 무한하지만 셀 수 없는 (실수 집합)
power set
power set 은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들을 모두 원소로 하는 집합.
2 ^ x = {A | A (x에 속함 기호 X), powerset의 원소 개수 2 ^|x|
- 모든 집합
에서 |X|≠|2^X|이다.
- 증명: X=공집합인 경우, |X| = 0, |2^X| = 1 이므로 참
- |X| = |2^X| 라는 것은 두 집합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는 것, 이러한 대응을 f
- X : 대각화로 일대일 대응이 계속 생겨나, 무한집합
- |R| = |2^N|
- R1 = {x | 0 < x<1}
- | R1 | = |2 ^N|
- R1을 이진수로 쓰면
- 0.10110100 <-> {1,3,4,6,9...} 몇 번째 자리에 있으면 집합에 쓰기
- 따라서 |2^N| 은 무한집합(uncountable set)
- 결과적으로 집합론을 요약하면
- |A|<|N|=|Z|=|Q|<|R|=|2^N|<|2^R|<.... (A : Finite set)
Cantor Set and some thoughts (그냥 이해하면 좋은거)
수직선에서 남은 거를 3개로 끊어서 하나씩 버리기 -> 없어진 부분의 길이 = 1/3 + 2/9 + 4/27 + …. = 1 -> 남은 애들 = cantor set
=> 3진수로 섰을 때, 자리가 1인 애들이 없어진 것임, 0,2 로 실수를 만들면 안 없어짐 → 남은 길이는 없는데 개수는 uncountable
'수업 other > 암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학] DFA (1) | 2024.10.02 |
---|---|
[암호학] Berry Paradox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