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구조목차메모리 구조메모리코드 영역데이터 영역힙 영역스택 영역오버플로우JVM 런타임 데이터 영역pc 레지스터네이티브 메서드 스택스택 영역메서드 영역힙 영역 (java 7이전 vs java8이후)정리메모리 구조위 그림과 같이,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 운영체제(OS)가 프로그램의 정보를 메모리에 로드해야 한다.그래야 메모리에 올라온 명령어와 데이터들을 CPU가 처리할 수 있다.할당받은 대표적인 메모리 공간은 코드영역, 데이터 영역, 힙 영역, 스택 영역 으로 구성되어 있다. 🧐 그렇다면, 왜 이렇게 메모리 공간은 체계적으로 나뉘어져 있을까?많은 이유와 이점이 있는데, 추려보았다.CPU가 메모리에 빠르게 접근하고,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실행되도록 한다.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침범하면..
안녕하세요. 코딩 신생아 입니다.2달 전에 oauth 구글 로그인과 네이버 로그인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한 pr 리뷰 후, 임시방편으로 두 개의 로그인 방식마다 따로 DefaultOAuth2UserNaver , DefaultOAuth2UserGoogle 클래스를 따로 만들어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좀 더 나은 방법을 찾기 위해 spring security , jwt 기본으로 돌아가 보려고합니다. 우선, spring security가 무엇이고 개념에 대해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spring security란 스프링 시큐리티는 스프링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인가, 권한 을 담당해주는 하위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 시큐리티는 필터 기반으로 동작하는데,DelegatingFil..
요즘 인턴 생활로 오전부터 오후 시간을 거의 다쓴다..설날 연휴가 1주일이라 백준을 좀 풀어볼까 ... 했는데인텔리제이를 켰더니, 프로젝트 폴더가 아예 보이지 않는다.솔직히 이런적이 몇 번 있었는데, 그때마다 서칭해서 해결했었다.오늘도 어김없이 서칭해서 해결하였는데, .idea 폴더를 지우면 되는게 신기해서 글을 쓰게 되었다 (거의 3개월만인듯..) .idea 폴더란 Intellij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폴더이다.따라서 .gitignore 파일에 .idea 를 추가해 다른 작업자가 소스를 받을때 영향을 주지 않게 한다. 근데, 내가 지금까지 git으로 프로젝트를 올렸을때 .gitignore에 추가해도 .idea가 그대로 올라갔던 것 같다. 이는 git 의 캐시 문제인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