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 백준 1167 트리의 지름📎 분류 : Tree, Dfs 트리(tree)는 사이클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이다. 트리에서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도 둘 사이에 경로가 항상 하나만 존재한다. 트리에서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서 양쪽으로 꽉 당길때 가장 길게 늘어나는 경우, 트리의 모든 노드들은 이 두 노드를 지름의 끝 점으로 하는 원 안에 들어가게 된다.트리의 지름이란, 트리 상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가지는 두 정점 사이의 경로이다. 트리의 지름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할 수 있는데,dfs를 통해 임의의 정점(x)로부터 가장 먼 정점(y)를 구한다.dfs를 통해 구해진 (y)정점으로부터 가장 먼 정점(z)를 구한다.(y)정점과 (z)정점을 잇는 경로가 트리의 지름이 된다.증명dfs를 2번만 진행하면..
안녕하세요. 코딩신생아 입니다. 최근 인턴을 하면서 로컬 환경에서 제가 개발한 부분을 돌리고, 다른 분의 로컬 컴퓨터에서 제 IP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던 중 의도한대로 로컬 환경이 실행되지 않아서 관련 부분을 보던중, IP 관련 지식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IP주소에 대해 정리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IP 주소란IP의 역할은 '엔드투엔드 통신'을 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상의 어떤 PC에서 다른 PC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IP의 역할이다. I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IP헤더를 추가해 IP패킷으로 만들어야 한다. IP헤더에는 IP주소를 이용해 출발지 주소와 도착지 주소를 나타낸다.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는 중간에 라우터가 존재하여 IP패킷을 출발지로부터 최종적으로..
상황 개발은 잘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은데, PR(pull request)는 계속 쌓이고, 점차 레거시 코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새로운 것으로 다시 병합하고 수정하는 시간들이 길어져 프로젝트에 들이는 시간대비 효율성이 나오는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추가로 개인적으로 코드 리뷰를 하는 것, 받는 것 자체가 재밌고, 개발의 원동력을 준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부분이 PR을 올린 시점으로부터 늦어지면 팀원 모두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았다.원인 분석 PR이 쌓이는 주된 원인이 무엇일까? develop 브랜치에 머지하기 전에 코드리뷰 및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너무 지체된다고 생각했다. 해결방안 모색 따라서 아직 머지 안된 PR들의 목록과 함께 매일 특정 시간에 알려주는 시스템이 있으..
{ company_seq : value.company_seq, hotel_seq : value.hotel_seq, category_name : "\\\IN (${categoryies.map(cat => //생략 }이런식으로 category_name 값들이 들어있는 배열 내의 값들에 해당 찾고자 하는 category_name 이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짰다. escape 를 써라코드리뷰에 'escape'를 쓰라 하셔서 관련해서 찾아보니, javascript를 쓸때 유니코드로 인코딩을 해주는 함수였다.알파벳과 숫자 및 특수문자를 제외한 문자를 모두 16진수로 인코딩하여 반환된다.1바이트 문자는 %XX 형태로 반환되고, 2바이트 문자는 %uXXXX 형태로 변환된다. escape를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